본문 바로가기

공학법제

0408~ 공학법제 정리

* 과학기술법 (공학관련법)

1. 과학기술법의 개념

### 과학기술법 이란?

과학기술을 지원/육성/보호/규제하기 위해 제정된 모든 법

## 과학기술법의 3가지 종류

1. 헌법 (2개)

-22조2항 (과학기술자의 권리 보호)

-127조 제1항 (국가는 과학기술혁신을 통해 국민경제발전 노력해야 함)

2. 법령(법률+명령) (대부분)

3. 조약

2. 과학기술의 목적

## 과학기술법의 목적

1. 과학기술은 양면성이 있기때문에 지원, 육성, 보호, 규제 하기 위해

2. 과학기술 분야에서의 정의실현

   ex)원자력 분야에서의 정의

   :1)편익 최대화, 2)방사능 위험으로부터의 보호, 3)사고예방과 사고에 따른 효과적 손해 배상 - 세가지를 균형적으로 조정해야함

### 과학기술 기본법 제3조

(5개 다 외워야함_시험에 낼것!)

cf) 과학기술법이라는 법은 없다!

1. 인간의 존엄을 바탕으로 한 과학기술혁신

2. 과학기술혁신과 자연환경 및 사회윤리적 가치와의 조화

3. 경제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서의 과학기술혁신

4. 과학기술만의 자율성과 창의성 존중

5. 자연과학과 인문 사회과학의 균형적 연계발전

## 과학기술의 정의가 문제된 사례

타미플루 : 로슈의 특허권 vs 보건 → 강제실시명령(타 회사에세도 제작가능하도록)

3. 과학기술법과

사회변화

## 사회변화에 대한 법의 대응 새로운 법 제정, 기존 법률 개정
## 손해배상법의 변화

배상 : 물적 / 정신적(위자료)

1. 과실책임원칙(인과관계가 확실할때)

2. 피해자 입증책임

3. 두가지의 단점으로 인해 무과실책임원칙 등장

     
     
     

'공학법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306~ 공학법제 정리  (0) 2019.04.03